스포츠잡화점
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감기에 걸리는 이유 정리 (독감과 감기 차이점)

by 부폰폰 2024. 2. 5.
반응형

감기에 걸리는 이유


먼저 옛말에 여름 가기는 개도 안 걸린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감기는 날이 추워지는 것과 특히 연관이 많은데요. 여름보다 겨울에 감기에 잘 걸리는 이유가 무엇인지 부터 알아보고 넘어가겠습니다.

인간의 몸은 날씨와 외부 온도에 맞춰서 체온을 비슷하게 유지하려는 특성이 있습니다 그런데 일교차가 커지면 온도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에너지를 많이 소모하게 됩니다. 그러다보면 면역세포에서 사용할 수 있는 에너지가 줄어들게 되고, 면역력이 떨어지면서 감기에 쉽게 걸리게 되는 것입니다.

독감과 감기의 차이점


그런데 독감과 감기의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이름만 들어서는 독한 감기가 독감인가? 라고 생각할수 있지만 사실 두개는 다른 질환입니다.

감기는 200여종의 다양한 바이러스에 의해 감염되어 증상을 일으키며, 증상에는 몸살, 콧물, 기침, 두통이 대표적입니다. 반면 독감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라는 명확한 원인이 있고, 증상 역시 감기보다 고통이 심한 고열, 오한, 인후통, 근육통이 있으며, 호흡기를 통한 전염성도 매우 강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만약 38도 이상의 고열과 견디기 어려울 정도의 근육통 증상이 있다면 독감에 걸린 것으로 예상할수 있습니다.

독감 예방하는 법


이러한 독감을 예방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예방접종을 받는 것입니다. 그리고 증상이 있는 사람과의 접촉을 피하고 손 씻기와 손으로 얼굴 만지지 않기 등 개인 위생수칙을 잘 지키는게 좋습니다. 많은 분들이 코로나를 통해서 많이 습득되었겠지만, 호흡기를 통한 전염병은 손 씻기가 무엇보다 중요하고, 손을 얼굴에 대지 않는 것만으로도 전염을 많이 방지할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방 접종에 대한 이해


많은 분들이 백신을 접종하면 평생 가는 것으로 생각하는데, 그것은 반은 맞고 반은 틀린 이야기입니다. 수두와 같은 질병은 변이가 크게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한번의 백신 접종 만으로도 평생 걱정이 없지만, 독감 바이러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매년 변이를 일으키기 전년도에 맞은 백신이 효과가 미미하기 때문에 독감 백신은 매년 접종을 받아야 합니다.

그리고 우리나라 독감 유행 시기는 날이 쌀쌀해지기 시작하는 11월 말에서 이듬해 4월까지입니다. 그런데 백신 접종 효과는 접종 직후에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항체가 생기기 까지 2주 정도의 시간이 필요 합니다. 또한 백신의 유효기간은 6개월 정도로 생각보다 짧기 때문에 10월 중순부터 11월 초 정도에 백신을 접종하는 것이 좋습니다.

참고로 독감 예방 접종은 65세 이상, 임산부, 만13세 이하의 어린이가 무료 접종 대상이고 그외는 추가 비용을 지불해야 합니다.

독감 예방 접종 시 주의할 점


그리고 독감 예방 접종시 주의해야할 점이 있는데, 6개월 미만의 영아에게는 접종해서는 안 됩니다. 또한 백신은 제조방식에 따라 달걀을 활용하여 생산하는 유정란 백신과 동물세포를 이용한 세포배양 백신으로 구분되는데, 계란, 닭고기, 닭유래 성분에 알레르기 과민반응이 있다면 세포배양 방식의 백신을 접종해야 합니다. 그리고 접종 후 접종 부위가 빨갛게 되거나 부을 수 있는데, 예방접종 직후에 생기는 것은 일반적인 현상이고, 12일 이내에 사라지기 때문에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하지만 예방접종 뒤 고열이나 호흡곤란, 두드러기 어지럼증이 심하다면 반드시 의사의 진료를 받으셔야 합니다.

반응형

광고